1. | ![]() |
1강 간호윤리의 이해 | 간호윤리의 정의, 직업 윤리, 간호 윤리학 등의 개념을 정의한다. | ![]() |
2. | ![]() |
2강 규범윤리 이론 | 공리주의, 의무론, 자연법, 덕 윤리, 여성주의, 돌봄윤리를 설명한다. 각 규범윤리 이론과 간호실무의 관계를 설명한다. 윤리적 개념으로서 돌봄을 정의한다. | ![]() |
3. | ![]() |
3강 윤리학의 주요 개념 | 윤리학의 주요 개념을 정의, 자율성, 존중의 원칙, 악행금지의 원칙, 선행의 원칙, 정의의 원칙을 설명. 사전 동의, 선의의 간섭주의, 성실, 진실말하기, 비밀 유지 개념 정의. 윤리적 의사결정 과정 설명. 간호학의 윤리적 의사결정 모델들을 설명. 간호실무에서 발생하는 윤리적 문제에 윤리적 의사결정 과정을 적용. | ![]() |
4. | ![]() |
4강 간호사 윤리강령 | 간호사 윤리강령의 정의와 목적을 설명한다. 국제간호협의회 간호사 윤리강령의 제정배경을 설명. 국제간호협의회 간호사 윤리강령의 서문 내용과 각론 내용 설명. 한국 간호사 윤리강령의 제정배경 및 서문 내용과 각론 내용을 설명. | ![]() |
5. | ![]() |
5강 제7장 생명윤리학이란 | 생명윤리학이 등장하게 된 배경을 설명. 뉘른베르크 강령의 탄생과 배경과 중요 내용을 설명. | ![]() |
6. | ![]() |
6강 제8장 생명윤리학의 역사적 사건들 | 생명윤리학의 역사적 사건들 설명. 역사적 사건들을 통해 생명윤리학이 다루는 주요 주제들이 무엇인지 열거. | ![]() |
7. | ![]() |
7강 제9장 비첨과 칠드레스의 생명의료윤리 4원칙 | 생명의료윤리의 원칙주의 탄생의 배경을 설명. 원칙주의에서의 자율성 존중의 원칙을 설명. 원칙주의에서의 악행금지의 원칙을 설명. 원칙주의에서의 선행의 원칙 및 정의의 원칙을 설명 | ![]() |
8. | ![]() |
8강 제15장 인간대상 연구윤리 | 인간대상 연구윤리의 사회적 배경을 설명. 인간대상 연구윤리와 관련된 간호윤리 문제를 설명. 인간대상 연구윤리와 관련된 법적 규정을 설명. | ![]() |
9. | ![]() |
10강 제11장 생명공학의 윤리적 문제 | 생명공학의 사회적 배경을 설명. 생명공학과 관련된 간호윤리 문제를 설명. 생명공학과 관련된 법적 규정을 설명. | ![]() |
10. | ![]() |
11강 제12장 인공임신중절 | 임신중절의 사회적 배경을 설명. 인공인심중절과 관련된 간호윤리 문제를 설명. 인공임신중절과 관련된 법적 규정을 설명. | ![]() |
11. | ![]() |
12강 간호사와 간호사 윤리문제 | 간호사와 간호사 동료 사이의 간호윤리문제를 설명. 간호사간의 직장내 괴롭힘, 직장 내 무례함, 수평적 폭력의 개념을 정의. 간호업무 공평한 분배와 관련되어 제기되는 윤리문제를 설명. 효율적 업무처리와 간호사로서의 윤리적 의무 사이에서 발생하는 윤리적 갈등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 설명. | ![]() |
12. | ![]() |
13강 간호사와 타직종 윤리문제_해설포함 | 간호사와 의사의 관계에서 발생하는 윤리문제를 설명. 간호사와 의사가 협력적 관계를 유지하는 것이 간호사와 의사의 윤리적 의무인 것을 설명. | ![]() |
13. | ![]() |
14강 조직에서의 윤리문제_해설포함 | 병원윤리위원회 기능 열거, 병원윤리위원회가 기존 법에 명시된 기관생명윤리위원회, 임상시험심사위원회, 의료기관윤리위원회와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 설명. 공익제보의 개념 및 보건의료서비스와 관련된 중요성을 설명. 공익제보와 관련된 간호윤리 문제 설명. | ![]() |
14. | ![]() |
15강 인공지능(AI)와 윤리규범 | 인공지능(AI) 기술의 발전과 의료 분야에서으 적용을 이해. AI가 간호 실무에 미치는 윤리적 영향에 대해 분석. AI와 관련된 윤리적 문제를 논의하고, 이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 간호 윤리 규범을 기반으로 AI 기술의 사용에 대한 윤리적 기준을 설정. AI와 윤리적 규범을 조화시켜, 환자 중심의 간호 실천을 보장할 수 있는 방안 제시.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