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 |
Orientation | 강의의 전반적인 목차 설명 | ![]() |
![]() |
폐수 내 Solids의 종류와 특징 | TS, TSS, VS, VSS, FS, FSS, TDS, VDS, FDS의 개념과 특징 강의 | ![]() |
|
![]() |
폐수 내 유기물의 종류와 특징 | 탄수화물, 단백질, 지질류의 종류와 특징 강의 | ![]() |
|
![]() |
폐수처리 실전 문제 | 폐수 관련 실전문제 풀이 | ![]() |
|
2. | ![]() |
미생물의 특징_1 | 미생물의 생장곡선과 분류 강의 | ![]() |
![]() |
미생물의 특징_2 | 미생물의 물질대사 강의함 | ![]() |
|
![]() |
미생물의 특징_3 | 미생물 처리공정 중 호기/혐기공정에 대해 강의함 | ![]() |
|
3. | ![]() |
물질수지_1 | 폐수유량의 물질수지에 대해 강의함 | ![]() |
![]() |
물질수지_2 | 기질제거 속도상수에 대해 강의함 | ![]() |
|
![]() |
물질수지_3 | 유기물의 물질수지, 내생호흡, 산소계수에 대해 강의함 | ![]() |
|
4. | ![]() |
공정설계인자_1 | 미생물 설계인자, 유기물의 호기성분해와 산소설계인자에 대해 강의함 | ![]() |
![]() |
공정설계인자_2 | 총필요 산소농도, 내생호흡에 필요한 산소량에 대해 강의 | ![]() |
|
![]() |
공정설계인자_3 | 마생물의 생성계수, 내생호흡계수, 유기물의 호기성 분해와 미생물, Oxygen Uptake Rate에 대해 강의함 | ![]() |
|
5. | ![]() |
미생물 성장동력학_1 | 기질제한증식, 로그증식(회분배양), 내생호흡속도, 미생물의 순증식속도에 대해 강의함 | ![]() |
![]() |
미생물 성장동력학_2 | 모노드 방정식, 세포잔류물 생성속도, 총휘발성 부유고형물 생성속도, 활성미생물분율, 순미생물합성계수, 측정고형물 합성계수, F/M 비, 유기물 부하, 슬러지 부하, 기질의 제거효율, 슬러지 일령, 아레니우스 방정식, theta value에 대해 강의함 | ![]() |
|
![]() |
미생물 성장동력학_3 | 예제 문제 풀이 | ![]() |
|
6. | ![]() |
활성슬러지 공정_1 | 활성슬러지 공정 개요도, 수리학적 체류시간, 고형물 체류시간에 대해 강의 | ![]() |
![]() |
활성슬러지 공정_2 | MCRT, 폐슬러지량, 잉여슬러지량, 슬러지 증식량에 대해 강의 | ![]() |
|
![]() |
활성슬러지 공정_3 | 반송이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의 미생물 및 기질의 물질수지, 반송이 있는 경우의 반송비와 SRT에 대해 강의 | ![]() |
|
7. | ![]() |
활성슬러지 공정개요_1 | 공정모식도. 하수처리 각 공정의 역할에 대해 강의함 | ![]() |
![]() |
활성슬러지 공정개요_2 | 하수성분 및 처리개요, 최초 침전조, 최종 침전조에 대해 강의함 | ![]() |
|
![]() |
활성슬러지 공정개요_3 | 활성슬러지 공정, MLVSS, MLSS, 슬러지 부피지수, 반송률, 잉여슬러지, PFR, 연속회분식 반응기, CSTR에 대해 강의함 | ![]() |
|
8. | ![]() |
활성슬러지공정 설계인자들_1 | SVI, SV30, SDI에 대해 강의함 | ![]() |
![]() |
활성슬러지공정 설계인자들_2 | SVI에 따른 슬러지 특성, F/M 비, 용적부하, 슬러지의 반송비, 재래식 활성슬러지 공정의 운전 조건에 대해 강의함 | ![]() |
|
![]() |
활성슬러지공정 설계인자들_3 | 예제 문제 풀이 | ![]() |
|
9. | ![]() |
공정미생물과 활성슬러지공정의 변형_1 | 사상성 팽화, 거품의 생성, 슬러지의 부상, 공정 지표 미생물에 대해 강의함 | ![]() |
![]() |
공정미생물과 활성슬러지공정의 변형_2 | 장기폭기법, 접족안정화법에 대해 강의함 | ![]() |
|
![]() |
공정미생물과 활성슬러지공정의 변형_3 | 계단폭기법, 순산소 활성슬러지법, 산화구법, 고율 활성슬러지법, 크라우스 공법에 대해 강의함 | ![]() |
|
10. | ![]() |
살수여상의 운전 및 재순환과 회전원판법_1 | 호기성 부착공정의 장점, 살수여상 이론, 표준 살수여상에 대해 강의함 | ![]() |
![]() |
살수여상의 운전 및 재순환과 회전원판법_2 | 고속 살수여상, 살수여상 운전 조건, 유출수 재순환 목적, 살수여상의 여재에 대해 강의함 | ![]() |
|
![]() |
살수여상의 운전 및 재순환과 회전원판법_3 | Eckenfelter, NRC, 회전원판법 | ![]() |
|
11. | ![]() |
흡착_1 | 흡착 종류와 기작, 등온흡착선에 대해 강의함 | ![]() |
![]() |
흡착_2 | Langmuir형 등온흡착모델, Freundlichgud 등온흡착모델에 대해 강의함 | ![]() |
|
![]() |
흡착_3 | 파과(Breakthrough), 흡착 장치(회분식, 고정상식)에 대해 강의함 | ![]() |
|
12. | ![]() |
혐기성 처리_1 | 혐기소화 공정, 가수분해 단계, 산발효 단계, 메탄생성단계, 피루브산과 수소, 혐기소화의 장단점에 대해 강의함 | ![]() |
![]() |
혐기성 처리_2 | 자기조립법, UASB, AUSB, USB, 혐기성 유동상 처리법, 이상 혐기소화에 대해 강의함 | ![]() |
|
![]() |
혐기성 처리_3 | 혐기소화조 운전상 문제점과 그 원인에 대해 강의함 | ![]() |
|
13. | ![]() |
종합설계 프로젝트_1 | 실전 데이터로 유출수 BOD, BOD 처리효율, 체류시간, 폭기조 부피, 폐기되는 슬러지량, 반송비, 일일산소 소모량, 일일 공기전달부피, F/M ratio 계산 | ![]() |
![]() |
종합설계 프로젝트_2 | 실전 데이터를 이용해 유출수의 미생물 농도, 폐수 내 탄소성 유기물 산화에 필요한 산소 농도, 미생물 합성에 사용된 질소의 농도, 같은 목적에 사용된 인의 농도, 유입수 대비 유출수 내 질소와 인의 함량 계산 | ![]() |
|
![]() |
종합설계 프로젝트_3 | 실전 데이터를 이용해 유출수의 기질의 농도와 미생물의 농도, 미생물 합성에 사용된 질소의 농도, 필요한 총 산소의 농도 계산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