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모두를 위한 열린 강좌 KOCW

주메뉴

제공처별 강의

전국 34개 기관에서 제공한 2,535개 강의를 만나보세요!

전체 에 대한2,535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 2361. 여름철 최고의 피서품, 발
    여름철 최고의 피서품, 발 비디오문서
    ArirangTV
    뜨거운 여름.. 한국인들은 시원한 대나무 향과 바람을 맡으며 여름을 시원하게 보낸다. 그것은 ancestors of Korean이 대나무를 실처럼 가늘게 쪼개서 발명해낸 Bambo...
    • 차시보기
    • 강의담기

    차시리스트

    close

  • 2362. 한국인의 멋, 풍류
    한국인의 멋, 풍류 비디오문서
    ArirangTV
    아득한 고대시대부터 한국인들이 아름다운 산과 계곡을 찾아다니며 자연의 섭리를 배우고 자연처럼 수려하게(graceful) 살고자 했던 한국인의 풍류(elegant) 문화, 풍류(Pung...
    • 차시보기
    • 강의담기

    차시리스트

    close

  • 2363. 한국 전통 에어컨옷, 한산모시
    한국 전통 에어컨옷, 한산모시 비디오문서
    ArirangTV
    뜨거운 햇볕이 내리쪼이는 무더운 여름.. 한국 사람들은 예로부터 시원하게 여름을 지내는 비법을 알고 있었다. 그것은 바로 잠자리 날개처럼 얇으면서 시원한 바람이 통과할 수 있게 만...
    • 차시보기
    • 강의담기

    차시리스트

    close

  • 2364. 승전무
    승전무 비디오문서
    ArirangTV
    통영 부감팬 ‘동양의 나폴리’라 불리는 한국의 아름다운 항구도시 통영. 철갑선, 해전 이곳은 세계 최초의 철갑선인 거북선을 만들어 세계 해전사(history of naval batt...
    • 차시보기
    • 강의담기

    차시리스트

    close

  • 2365. 하회별신굿탈놀이
    하회별신굿탈놀이 비디오문서
    ArirangTV
    익살과 해학, 풍자로 가득찬 하회별신굿탈놀이(한글 발음). 약 500년 전부터 마을의 수호신을 기쁘게 해서 마을 사람들의 안녕과 풍년을 기원하던 한국인의 대표적 축제이다.
    • 차시보기
    • 강의담기

    차시리스트

    close

  • 2366. 시(詩)로 읽는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의 생애와 사상
    시(詩)로 읽는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의 생애와 사상 비디오
    한국연구재단
    옛 선인들은 시를 전업으로 한 문학가는 드물고, 대부분의 경우 학문과 정치와 문학을 겸하고 있었다. 즉 관직을 가지고 학문 연구를 하면서 시도 썼던 것이다. 다산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 차시보기
    • 강의담기

    차시리스트

    close

  • 2367. 프랑스 현대 소설의 형성과 전개
    프랑스 현대 소설의 형성과 전개 비디오
    한국연구재단
    19세기의 토대와 윤곽, 우리 자신이 속해있는 사회질서, 경제체제, 표현양식으로서의 문학이 형성된 것은 1830년이었다고 명쾌하게 지적한 하우저는 프랑스 현대소설과 관련하여 이렇게 못...
    • 차시보기
    • 강의담기

    차시리스트

    close

  • 2368. 존재와 소유
    존재와 소유 비디오
    한국연구재단
    본 강의는 존재와 소유에 대한 철학적 성찰을 위주로 전개될 것이다. {존재와 소유}는 20세기 프랑스의 가톨릭 철학자인 가브리엘 마르셀의 저서명이기도 하다.. 그러나 저 저서명은 이 ...
    • 차시보기
    • 강의담기

    차시리스트

    close

  • 2369. 왜 법의 지배인가
    왜 법의 지배인가 비디오
    한국연구재단
    관행과 제도로 굳어진 것들에 대한 회의로부터 인문학적 상상력은 출발한다. 추상적인 규칙체계, 전문직의 아성에 갇힌 법제가 법치주의의 본 뜻을 담고 있는 것은 아닐 것이다. ‘있...
    • 차시보기
    • 강의담기

    차시리스트

    close

  • 2370. 건축과 도시와 인문
    건축과 도시와 인문 비디오
    한국연구재단
    건축과 도시공간은 인문학의 하드웨어다. 건축과 도시는 동양과 서양이 다르고 기독교문명과 유교문명과 이슬람문명이 서로 다르다. 인류문명의 원류인 고대문명과 중세문명의 하드웨어인 건축과 ...
    • 차시보기
    • 강의담기

    차시리스트

    close

처음으로 이전목록 231 232 233 234 235 236 237 238 239 240 다음목록 마지막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