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강의상세

강의사진
  • 주제분류
    교육학 >교육일반 >교육학
  • 강의학기
    2025년 1학기
  • 조회수
    1,403
  •  
강의계획서
강의계획서
본 강의에서는 역량의 주요 개념을 이해하고 역량을 모델링하는 주요 방법론을 학습한다. 또한 역량개발의 중요성과 필요성에 대해 탐색하고 역량평가 제도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힌다. 더 나아가 역량개발 및 역량 평가에 참여하는 퍼실리테이터(평가자)의 역할과 필요 자질과 행동에 대해 학습한다.
1. 역량이란 무엇인가?
  • 이전차시
  • 다음차시

차시별 강의

PDF VIDEO SWF AUDIO DOC AX
1. 비디오 1. 역량이란 무엇인가? 본 차시에서는 역량의 개념과 주요특징 등에 대해 학습한다. 또한 Competency와 Competence의 개념 차이를 구분함으로서 역량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역량정의와 관련된 다른 견해 및 추가 논의 주제를 탐색한다. URL
2. 비디오 2. 역량의 이해와 활용 현장에서 역량의 개념이 어떻게 활용되는지를 파악하고, 역량연구 역사에서 등장한 다양한 연구자들의 역량에 대한 개념과 주요 연구 내용을 살펴본다. 또한 스스로 자문자답의 시간을 통해 자신은 어떠한 역량을 지녔는지 성찰해 본다. URL
3. 비디오 3. 역량모델의 이해 (1) : 역량모델의 주요 개념 및 직무분석과의 차이 역량 연구에서 핵심이되는 개념과 이론적 배경을 제시한 Spencer & Spencer 연구에서 소개된 역량의 주요 내용을 살펴본다. 또한 역량모델의 개념, 효과성, 한계와 주요특징에 대해 고찰하고 직무분석과 역량모델링을 주요 개념 및 수행 사례를 비교하여 학습함으로써 역량모델에 대한 이해의 폭을 확장한다. URL
4. 비디오 3. 역량모델의 이해 (2) : 역량모델의 구조와 핵심원칙 본 차시에서는 역량모델의 구조와 핵심원칙, 역량모델링 프로세스 등에 대해 학습한다. 특히 실제 사례(마케팅 매니저과 5급 사무관)의 역량모델링 프로세스를 제시함으로써 역량모델링을 수행하는 방법에 대해 깊이 있게 탐색할 수 있다. URL
5. 비디오 3. 역량모델의 이해 (3) : BEI 수행법 역량모델링을 수행하는 중요한 방법 중 하나인 행동사건면접(BEI)의 개념, 목적, 특징 등에 대해 학습한다. 또한 실제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BEI 수행법에 대해 깊이 있게 탐색하여 현장에서 BEI를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역량을 함양한다. 더 나아가 역량모델링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또 다른 방법으로 조직 내외부 자료를 활용하는 방법과 유의사항에 대해 살펴한다. URL
6. 비디오 3. 역량모델의 이해 (4) : FGI 수행법 FGI의 개념과 FGI를 통한 데이터 수집 방법 그리고 FGI 수행시 유의사항에 대해 학습한다. 또한 역량사전의 개념과 특징 그리고 활용법 및 유의사항에 대해 탐색하고 CBC(역량기반커리큘럼) 개발 프로세스를 ADDIE 모델을 활용하여 살펴본다. URL
7. 비디오 4. 역량개발교육(DC)와 역량평가(AC)의 이해 본 차시에서는 역량개발교육(DC)의 개념과 특징 그리고 역량개발 교육의 핵심원리 및 역량개발 교육을 통해 어떻게 행동이 수정될 수 있는지에 대해 살펴본다. 또한 역량개발교육(DC)와 역량평가(AC)의 차이를 탐색하고, 모의과제 수행절차에 대해 알아본다. URL
8. 비디오 5. 역량개발교육(DC)와 역량평가(AC) 주요 기법의 이해 역량개발교육 및 역량평가는 모의사항이 제시된 과제를 통해 수행하게 되는데 과제를 수행하는 네가지 기법(집단토론, 역할수행, 서류함, 발표)의 주요 특징과 수행방법에 대해 학습한다. URL
9. 비디오 6. 퍼실리테이션과 퍼실리테이터 (1) : 퍼실리테이터의 역할과 책임 본 차시에서는 퍼실리테이션과 개념과 목적, 퍼실리테이터(FT)의 주요 역할과 책임, 선호되는 FT의 행동에 대해 학습한다. 또한 학습자 행동관찰 상황에서 FT에서 요구되는 행동을 파악하고 유의사항을 살펴보며 퍼실리터이터(Facilitator)와 인스트럭터(Instructor)의 차이에 대해 학습한다. URL
10. 비디오 6. 퍼실리테이션과 퍼실리테이터 (2) : 역량평가 방법 및 평가 프로세스의 이해 좋은 피드백과 그렇지 못한 피드백의 예시를 고찰함으로써 교육생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할 수 있는 피드백 방법을 모색한다. 또한 역량평가 평정방법 그리고 행동 수준 평가 프로세스를 단계별(관찰, 기록, 분류, 평가, 통합)로 학습하고 각 단계별 유의사항에 탐색한다. URL

연관 자료

loading..

사용자 의견

강의 평가를 위해서는 로그인 해주세요.

이용방법

  • 동영상 유형 강의 이용시 필요한 프로그램 [바로가기]
    문서 자료 이용시 필요한 프로그램 [바로가기]


    ※ 강의별로 교수님의 사정에 따라 전체 차시 중 일부 차시만 공개되는 경우가 있으니 양해 부탁드립니다.

이용조건